전체 글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 개념 1) 음성인식 이란? - 기계로 하여금 인간의 말소리를 인식하고 그 결과를 문자로 출력해주는 시스템 - ex) Apple의 Siri, 삼성의 빅스비 2) 음성인식 구현 - 영어를 아예 모르는 상태라고 가정하자 - 이 때, 영어 문장을 자주 들음으로써 어떤 문장이 영어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 이렇게 영어 음성에 대해 익숙해지는 과정을 음성인식에서는 '음향모델' 혹은 'acoustic model'을 훈련한다고 한다. - 음성인식을 위해서는 음향모델과 언어모델의 학습이 필요하다. 3) 음향모델(acoustic model) - 음향모델을 훈련하는 것은 특정 언어에 존재하는 모든 음소를 배우는 과정 - 음소란? - (영어) a, b, c, d ... 와 같이 가장 작게 쪼개진 소리 단위 - (한국어.. [C언어] int main() vs int main(void) 비교 C언어를 공부하다 어떤 코드에는 main()에서 괄호 안에 void가 작성되어 있는 것을 보고 궁금증이 생겼다. int main(), int main(void) 모두 C에서 제대로 작동한다. void를 쓰게 되면 인수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선형대수학] 1. Systems of Linear Equations 세상의 문제를 linear equations(선형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형방정식을 공부하려고 한다. 1) 선형대수학이란? - '선형사상(덧셈과, 상수곱 구조를 갖고 있는 벡터 공간과 그 위에서 정의되고 벡터 공간의 연산 구조를 보존하는 함수)에 관한 대수학' (by. 나무위키) 라고 나와있기는 하지만 교수님의 말씀을 빌려 이를 간단히 정의를 해보자면 'linear equation(Ax=b)로 표현가능한 system을 푸는 방법론' 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2) 예시 - 위의 정의를 좀 더 와닿게 하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EX) 어떤 근무자의 월급과 그 사람의 경험간의 관계를 알고자 한다. a11*x1+a12*x2=b1 a21*x1+a22*x2=b2 a31*x1+a32*x.. [Python] 2. input() 파이썬에서 입력받기 1) input() 함수 이번에 소개할 파이썬의 문법은 input()이다. 이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입력을 받는 함수다. 입력을 받은 다음 인수에 저장한다. 위와 같이 입력하게 되면 출력 창에 코드에 끝나지 않고 계속 돌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즉, 우리가 키보드를 통해 어떠한 값을 입력하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말이다. 나는 eomc라고 입력을 했다. 그 결과는 위와 같다. print(name)의 출력 결과가 eomc라는 것을 통해 name이라는 변수에 eomc가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집고 넘어가자면 input()에서 괄호 안에 있는 내용이 출력 창에 출력된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다. 2) input() 함수를 사용한 간단한 예제 +간단한 예제 출력 결과는.. [Python] 1. 파이썬 소개 및 설치 1) 파이썬 소개 및 설치방법 파이썬이란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다. 쉽게 생각하면 인간과 기계(컴퓨터)가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c언어, c++ 등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파이썬은 이런 언어들 중에서 비교적 배우기가 쉬워 코딩 입문용으로 좋다. https://www.python.org/downloads/ 이전 1 2 3 다음